홍보이미지

시장도매인책자 모바일용 이미지
  • 담당부서기획팀
  • 수정일2021-01-11 15:13

파일명: 시장도매인 모바일용(세로형)_1.jpg
이미지 설명: 서울시농수산식품공사 홍보 이미지.
[메인 문구] 국내 도매시장 1위 가락시장에서 도입을 추진하는 시장 도매인제 알고 계십니까?  
[설명 문구]  
- (말풍선 1) 가락시장에서 도입을 추진하는 '시장도매인제'라고 알아?  
- (말풍선 2) 그럼요~ 기존 경매제를 보완해서 출하자가 선택해서 출하할 수 있는 권리잖아요.  
     게다가 유통 단계도 축소해서 생산자, 소비자 모두에게 이익을 주는 제도라구요~  
[이미지 설명]  
- 배경: 신선한 채소와 과일 그림이 상단과 하단을 장식하고 있음.  
- 중앙: 농부(초록색 모자, 갈색 옷)와 유통인(파란 셔츠, 갈색 바지)이 신선한 농산물이 담긴 바구니를 주고받으며 대화하는 모습.  
- 좌측: 농부 뒤에 노란색 소가 있음.  
- 우측 상단: 해가 떠 있으며 햇살이 퍼지는 그림.  
- 하단 중앙: 서울시농수산식품공사 로고 배치.
파일명: 시장도매인 모바일용(세로형)_2.jpg
이미지 설명: 농산물 가격 변동 정보 이미지.
[메인 문구] 농산물, 가격을 결정해온 경매제. 도대체 무엇이 문제 인가요?
[부제] 불안정·예측불가 경락 가격!
[설명 문구]
경매제는 시장 반입량에 따라 똑같은 상품도 가격이 큰 폭으로 변동
백다다기 오이 50개 상품 가격(원) 변동 그래프:
20.2.26: 38,326원
20.2.27: 64,413원 (68% 급등)
20.2.28: 40,186원 (38% 급락)
양배추 8kg 상품 가격(원) 변동 그래프:
20.9.3: 7,020원
20.9.4: 16,251원 (131% 급등)
20.9.5: 8,723원 (46% 급락)
[자료 출처] 가락시장 정과부류
파일명: 시장도매인 모바일용(세로형)_3.jpg
이미지 설명: 농산물 가격 공정성 문제 정보 이미지.
[메인 문구] 공정하지 못한 가격결정 구조!
[설명 문구]
- 동일 출하자의 경락 가격이 최소 2.5배에서 최대 12배까지 발생
 [표 1: 출하자별 가격 차이]
 - '20.5.27 박** 상추(4kg): A법인 10,900원, B법인 4,400원, 대비(A/B) 2.5배, 차이(A-B) 6,500원
 - '20.8.09 최** 청양고추(10kg): A법인 24,000원, B법인 2,000원, 대비(A/B) 12배, 차이(A-B) 22,000원
  
 - 1년 농사가 1초만에 결정되는 등 공정한 가격 결정 불가
  
 [표 2: 경매 시간별 거래량 (단위: 건)]
 - 구분: 단독 응찰·낙찰, 1~3초이내 응찰, 1초 초과~3초 이내
 - 총계: 6,475,290건(100%)
 - 단독 응찰·낙찰: 243,378건(3.8%)
 - 1초 이내: 1,069,051건(16.5%)
 - 1초 초과~3초 이내: 2,765,590건(42.7%)
  
  ※ 분석기간: 2019. 1월 ~ 12월
  ※ 25개 농산물
  
 [자료 출처] 가락시장 정과부류
파일명: 시장도매인 모바일용(세로형)_4.jpg
이미지 설명: 농산물 소득감소와 유통비용 정보 이미지.
[메인 문구] 농가소득 감소, 유통비용 상승!
[설명 문구]
- 중하품 중심 가락시장 경락가격 형성으로 농가 소득 지속 감소
 [그래프: 정과부류 농가 순소득 추이]
 - 단위: 천원
 - 10년~19년까지의 정과부류, 과수, 채소 품목의 순소득 추이를 보여주는 선 그래프
 - 정과부류(빨간색 선): 약 42,000천원에서 시작하여 등락을 반복하다 19년에는 약 34,000천원으로 감소 추세(점선으로 하락 추세선 표시)
 - 과수(파란색 선): 약 24,000천원 수준에서 등락을 반복
 - 채소(청록색 선): 약 19,028천원에서 시작하여 15,730천원으로 감소
 - 채소 품목의 각 연도별 수치가 그래프 하단에 표시됨
 
 [자료 출처] 통계청, '2020년 농가경제조사'
파일명: 시장도매인 모바일용(세로형)_5.jpg
이미지 설명: 도매시장법인의 수익 창출 정보 이미지.
[메인 문구] 도매시장법인의 막대한 독과점 수익 창출!
[설명 문구]
- 경매 독점으로 도매시장법인은 과도한 수익을 창출
 [표: 도매시장법인 수익 현황]
 구분 | 청과도매법인(89개소) | 수산도매법인(30개소) | 합계
 위탁수수료(억원) | 5,586 | 318 | 5,904
 
 [자료 출처] 2019년 농수산물 도매시장 통계 연보(농식품부)
 
 - 도매시장법인의 안정적 수익창출 구조로 투기적 자본의 인수 및 매각 반복
 
 - 막대한 영업이익에도 불구하고 생산자들을 보호하는 공익적 역할은 소홀
 
 [하단 이미지]
 농부(초록 모자, 갈색 옷)와 유통인(파란 셔츠)이 농산물 바구니를 사이에 두고 대화하는 모습. 농부 뒤에는 노란색 소가 있고, 햇빛과 새, 식물이 배경으로 그려져 있음.
파일명: 시장도매인 모바일용(세로형)_6.jpg
이미지 설명: 시장도매인제 도입 필요성 정보 이미지.
[메인 문구] 출하자와 소비자를 위해 '도매상제(시장도매인제)'를 도입하여 도매시장법인과 경쟁체제를 만들어야 합니다.
[설명 문구]
세 개의 원형 캐릭터 아이콘과 설명:
 1. [농부 캐릭터(초록 모자)]
 과잉생산 시대에 맞게 유연한 거래 제도 필요
 
 2. [여성 소비자 캐릭터]
 미국, 유럽 등의 선진국은 초기 경매제 이후 이미 오래전 도매상으로 전환
 
 3. [유통인 캐릭터(파란 셔츠)]
 우리도 시장도매인제를 2000년도에 도입하였으나, 기득권의 반발 등으로 시행을 못하고 있는 실정
파일명: 시장도매인 모바일용(세로형)_7.jpg
이미지 설명: 시장도매인제도 비교 정보 이미지
[메인 문구] 시장도매인제란 어떤 제도인가요?
[설명 문구] 시장도매인제는 경매제를 보완하여 생산자 출하선택권 확대, 유통단계 축소, 유통의 효율성 증대 등을 위해 2004년 강서농산물도매시장에서 국내 최초로 도입한 제도
[부제] 시장도매인제와 경매제
[주요 내용] 이미지에는 두 가지 유통 시스템이 비교되어 있습니다:

'경매제(4단계 유통구조)' - 청록색 박스로 표시
생산자/출하자가 농산물 바구니를 들고 있는 일러스트
유통 과정을 보여주는 화살표 ('위탁', '경매', '판매')
도매시장 내에는 도매시장법인과 중도매인 두 단계
소매 단계에는 소매상인과 대형유통업체/가공업체

이 이미지는 경매제가 4단계 유통구조를 가진 것에 비해 시장도매인제가 더 효율적인 유통 방식임을 보여주는 비교 설명 자료입니다. 생산자부터 최종 판매처까지의 전체 유통 흐름을 일러스트와 화살표로 시각화하고 있습니다.
파일명: 시장도매인 모바일용(세로형)_8.jpg
이미지 설명: 시장도매인제도 정보 이미지
[메인 문구] 시장도매인제란 어떤 제도인가요?
[설명 문구] 시장도매인제는 경매제를 보완하여 생산자 출하선택권 확대, 유통단계 축소, 유통의 효율성 증대 등을 위해 2004년 강서농산물도매시장에서 국내 최초로 도입한 제도
[주요 내용] 이미지는 시장도매인제와 경매제의 유통 구조를 보여줍니다:

상단에 '시장도매인제(3단계 유통구조)'라는 파란색 상자와 농산물 바구니를 들고 있는 생산자/출하자 일러스트레이션
중간에 '도매시장' 표시와 함께 상자를 다루는 시장도매인 일러스트레이션
하단에 소매점 건물 일러스트레이션
유통 흐름을 보여주는 화살표로 '매수·위탁'과 '판매' 과정을 표시

이 이미지는 시장도매인제도가 기존 경매제와 비교하여 어떻게 유통 단계를 축소하고 효율성을 높이는지 시각적으로 설명하고 있습니다.
파일명: 시장도매인 모바일용(세로형)_9.jpg
이미지 설명: 시장도매인제 안내 정보 이미지.
[메인 문구] 이용하면 뭐가 좋나요?
[부제] 1. 출하자 수취가격이 높습니다.
2. 농산물 가격이 안정적입니다.
3. 대금정산이 확실합니다.
[설명 문구]
시장도매인제는 사전에 출하자와 소통을 통해 출하물량 조절 및 안정적인 가격 형성
시장도매인에 출하하실 경우 입하 후 7일 이내/판매 당일 대금가능
시장도매인이 미지급할 경우 농식품부 인가를 받은 정산 조합이 출하 대금 지급
파일명: 시장도매인 모바일용(세로형)_10.jpg
이미지 설명: 시장도매인제 장점 안내 이미지.
[메인 문구] 이용하면 뭐가 좋나요?
[부제] 4. 사전에 가격을 협상하고, 원하는 시간에 거래할 수 있습니다.
5. 생산자(농업인)의 출하선택권 확대 등 서비스가 향상 됩니다.
6. 고품질·친환경 농산물 거래 활성화 및 생산자 조직화를 촉진합니다.
[설명 문구]
시장도매인제는 가격을 미리 협상해서 출하 가능하고, 경매제와 달리, 출하자가 편한 시간에 자유롭게 거래 가능
생산자에게 도매시장법인과 시장도매인 중 선택 출하할 자유 보장
경매거래에서 한계를 보이고 있는 고품질·친환경 농산물 거래 활성화 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