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보도및해명자료

농민신문 ''''가락시장 농산물 하역공간 부족'''' 기사 해명자료
  • 담당부서전산정보팀
  • 수정일2015-07-17 13:17


□ 보도개요



○ 보도일자 :
2015. 7. 17(금)



○ 보도매체 : 농민신문



○ 보도내용





- 7~8월 채소 반입 늘어 야적되어 장마철엔 출하품 비맞기 일쑤





- 품위 떨어져 경락값 하락 속출로 빈 공간 임사용 등 대책 필요



□ 해명 내용


○ 가락시장은 현재 낡은 시설 개선을 위한 시설현대화사업이 단계적으로 진행되고 있는 상황으로 당초 설계 시 1일 적정 취급물량 보다 1.8배 초과되는 8,300톤 이상 특히, 성수기에는 최대 10,000톤이 출하되고 있어 이로 인한 공간 부족으로 부득이 경매장 외부에서 경매가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7.17(금) 언론 보도의 “가락시장 농산물 하역공간 부족한데 서울시농수산식품공사는 무신경”이라는 표현은 공사가 아무런 조치를 취하지 않고 있다는 것으로 받아들일 수 있으나 이는 사실과 다릅니다.


○ 그 동안 공사에서는 경매장 외부 경매 시 우천 등에 대비하여 각 도매법인의 요청이 있을 때마다 적극 검토하여 주차장 및 공용도로 등 소통에 지장이 없는 활용이 가능한 면적에 임시 가설천막(자바라) 또는 비가림시설 설치를 승인해 왔습니다.


○ 가락시장은 법정 공영도매시장으로 일정한 주차장 면수와 녹지공간을 확보해야 하는데, 한번 타 용도로 사용이 되면 다시 원상회복이 되지 않아 많은 애로를 겪어 왔습니다.


○ 또한 2~3단계 시설현대화사업 추진과 관련하여 부족한 공간의 효율적 사용과 물류비 절감을 위해 작년부터 물류효율화사업 및 GPP(가락시장 우수 물류포장 관리) 인증 제도를 시행하여 산지의 파렛트 출하를 적극적으로 유도하고 있습니다.


○ 아울러 가락시장 내 공간의 효율적 사용 및 원활한 교통 소통을 위해 유통인 및 하역노조와 함께 차량 및 적치물, 전동차 등 물류운반구 이동․정비를 단계적으로 추진하고 있습니다.


○ 향후 공사에서는 출하자의 소중한 농산물이 비에 젖어 수취가격이 하락하는 경우가 없도록 주차장 및 녹지 등 가능한 공간을 최대한 확보하면서 해당 도매법인과 협력하여 출하자의 의견을 적극 반영할 수 있도록 임시 경매장 시설 설치 등을 검토할 계획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