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명자료(7.17자 농업인신문 ''''가락시장 중장기 로드맵 연구보고서''''관련 기사
- 담당부서전산정보팀
- 수정일2015-07-21 16:48
□ 해명내용
1. 시설현대화 과정 속에서 출하자 농업인 의견은 도외시 되어왔다는 주장에 대한 해명
⇒ 서울시농수산식품공사에서는 농식품부 조건부 승인사항 ‘다항’ 이행을 위한 청과부류 활성화를 위한 거래제도 개선협의회 구성 시 도매시장법인 측과 중도매인 측으로부터 협의회 위원을 각각 5명씩(유통인2, 전문가1, 출하자 1, 전문가1)을 추천 받아 의견을 청취하였으며, 또한 연구용역 결과 공청회, 전문가 토론회에서도 시장도매인 찬반 의견을 갖는 출하자를 추천받아 의견을 충분히 주장할 수 있도록 조치하였음.
2. 시장도매인제 대한 내용조차 제대로 인식하지 못하고 있는데, 도입규모를 선택하라니. 우물가에서 숭늉 찾는 격이다. 또한 절반 이상의 출하자 농업인 의견을 무시한 채 ‘도입규모’, ‘적정규모’ 등의 단어로 본뜻을 퇴색시켰다는 주장에 대한 해명.
⇒ 출하자 설문조사 시 1,000명을 대상으로 문6) 시장도매인제 인지도에 대하여 조사하였고 ‘잘 모른다(전혀 모른다 포함)’ 고 응답한 715명(71.5%)에 대하여 시장도매인제 개념과 운영에 대하여 개괄적으로 설명을 한 후 문7) 시설현대화사업이후 시장도매인제 병행도입에 대한 태도에 대하여 조사하였음. 문6)과 문7)를 교차 분석한 결과 시장도매인제 인지도와 시장도매인제 병행에 대한 태도와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것으로 나타남. 즉, 시장도매인제 인지도가 높다고 시장도매인제 병행도입에 대한 찬성 의견이 높고, 시장도매인제에 대한 인지도가 낮다고 병행도입에 대한 찬성 의견이 낮게 나타난 것이 아님. 시장도매인제에 대한 인지도와 관계없이 시장도매인제 병행 도입 태도에 대한 수치는 3.02~3.13점(5점 만점 기준)으로 비슷하게 나타남.
[표 2-13] 시장도매인제 인지도와 시장도매인제 병행에 대한 태도
시장도매인제인지도 | 사례수 | 시장도매인제 병행에 대한 태도(5점 만점) |
매우 잘 안다 | 41 | 3.02 |
어느 정도 안다 | 244 | 3.06 |
잘 모른다 | 377 | 3.02 |
전혀 모른다 | 338 | 3.13 |
계 | 1,000 | 3.07 |
3. 연구용역 최종보고서 내용 한국갤럽의 원문과 다르게 특정 항목을 제외시킴으로써 다른 항목들의 결과치가 부풀려졌다. 착시현상이다. 작게는 1.9%p, 최대 11.2%p까지 뻥 튀겨졌다는 주장에 대한 해명
⇒ 연구용역 최종보고서는 한국갤럽조사연구소에서 실시한 중도매인 인식 설문조사 및 출하자 설문조사와 연구수행기관에서 실시한 유통인 간담회, 산지 출장, 기타 선행연구 사례조사 등을 토대로 연구한 결과를 공사에 보고한 것으로 공사의 공식의견이 아닌 업무 추진 상 참고 자료임.
출하자 설문조사 보고서에서는 시설현대화사업이후 시장도매인도입제 도입 규모를 묻는 문8)은 문7)의 시장도매인제 병행도입에 대하여 부정적인 시각(매우 부정적 포함)을 갖는 출하자 291명을 제외한 709명에 대하여 설문을 한 것이며,
연구용역 최종보고서는 709명중 시장도매인제 도입규모에 대하여 ‘모름(무응답)’ 을 응답한 243명을 제외하고 도입규모(1~100%)를 적극 응답한 466명을 대상으로 삼아 6개 구간(시장도매인제 도입 10% 이하, 20%이하, 30%이하, 40%이하, 50%이하, 50%이상)의 빈도와 비중을 분석한 것으로 연구자가 어떤 의도를 가지고 수치를 부풀리지 않은 것으로 판단됨.
또한, 연구�肉� 최종 보고서 하단에 본 문항에 대한 무응답자 534명과 이를 제외한 466명이 분석대상임을 분명하게 제시하고 있음.
4. 한국갤럽의 출하자 설문조사 보고서의 원문은 ‘(709명 기준) 약간 높아질 것’ 35.8%, ‘매우 높아질 것’ 2.4%로, 긍정적인 의견은 38.2%이다. 연구용역 최종보고서에서는 조사대상을 축소하면서 13.5%p를 부풀렸고, 결국 과반을 넘기는 수치를 만들어 냈다는 주장에 대한 해명.
⇒ 출하자 설문조사 보고서에서는 시설현대화사업이후 시장도매인도입제 도입에 따른 시세영향을 묻는 문9)는 문7)의 시장도매인제 병행도입에 대하여 부정적인 시각(매우 부정적 포함)을 갖는 출하자 291명을 제외한 709명에 대하여 설문을 한 것이며
연구용역 최종보고서에서는 709명중 시장도매인제 도입 시 시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모름(무응답)을 응답한 185명을 제외하고 ‘영향을 준다’ 고 적극 응답한 524명을 분석대상으로 삼아 6개 구간(매우 낮아질 것, 약간 낮아질 것, 변동 없을 것, 약간 높아질 것, 매우 높아질 것)의 빈도와 비중을 분석한 것으로 연구자가 어떤 의도를 가지고 수치를 부풀리지 않은 것으로 판단됨. 또한, 연구용역 최종보고서 하단에 본 문항에 대한 무응답자 476명과 이를 제외한 524명이 분석대상임을 분명하게 제시하고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