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락시장, 정가수의매매 활성화 대책 발표
- 담당부서전산정보팀
- 수정일2014-03-28 09:54
□ 서울시농수산식품공사(사장 이병호)는 “2014년도 가락시장 청과부류 정가수의매매 활성화 지원계획”을 발표했다.
❍ 주요 추진 방향은, 정가수의매매 거래당사자들에 직접적인 편익을 제공하여 거래를 촉진시키고, 단순 유통인 집합교육에서 벗어나 실질적 교육을 통해 거래에 대한 이해 및 인식을 개선하며, 정가수의매매 중점 품목 선정 및 집중 관리 등이다.
<’14년 중점 추진계획>
□ 공사에서는 정가수의매매 출하자에게 거래장려금 지원을 통해 정가수의 매매 거래 활성화를 도모할 계획이다.
❍ 정가수의매매 출하자에게는 거래금액의 0.15%의 거래 장려금을 지급하며, 도매시장법인에서도 우수 출하자에게 장려금 지급을 확대할 계획이다. 지원 절차는 정가수의매매가 완료된 후 도매시장법인에서 중도매인 배송을 확인한 후 거래실적을 공사에 보고하면 실적 확인 후 지급대상자에게 장려금을 지급하게 된다.
* 정가수의 매매가 정착된 수입과일류 및 경매 이후 또는 불낙 이후 거래된 경우 지원 대상에서 제외
□ 출하자에 대한 지원뿐만 아니라 정가수의매매 우수 중도매인과 경매사에 대해서도 포상금을 지급할 계획이다.
❍ 정가수의매매 거래 실적이 우수한 중도매인 12명(상・하반기 각 6명)을 선정하여 포상금 100만원 지급 및 공사 사장 표창을 실시하며, 산지와 MOU 체결 등 정가수의매매 활성화에 기여한 경매사 총 6명을 선정하여 최우수 경매사는 100만원, 우수 경매사는 50만원의 포상금을 지급할 계획이다. 이 외에도 우수 거래자에게는 연말에 일본 등 선진 도매시장 연수 기회를 부여하는 등 다양한 인센티브를 제공한다.
□ 기존 정가수의매매 교육이 이론 중심의 집합 교육이었다면 올해는 거래에 대한 이해 및 도움이 될 수 있는 실무 중심의 교육을 실시할 계획이다.
❍ 공사에서는 경험이 풍부한 일본 도매시장의 경매사를 초빙하여 강연을 실시함으로써 일본 도매시장의 정가수의 매매 정착 요인, 거래 방식 등에 대해 교육을 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중도매인, 경매사 등 거래 관계자 특성에 맞는 맞춤형 강연을 함으로써 거래에 대한 실질적인 이해를 돕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 또한, 연도별로 중점 품목을 지정하여 품목 주 출하시기에 맞춘 특화된 활성화 대책을 마련하여 시행할 계획이다.
❍ 중점 품목 대상은 산지가 규모화되고, 규격화・포장화가 정착되어 견본거래가 가능한 품목이며, 2014년에는 감자, 버섯류 등 채소 5개 품목, 사과, 배 등 과일 5개 품목이 대상이다. 중점 품목에 대해서는 주 출하시기에 맞춰 산지 안내・홍보, 대형유통업체 납품 연계 등을 통해 정가수의매매 활성화를 유도할 계획이다.
□ 이 외에도 중도매인 대상 ‘우수상품 설명회’를 실시하고, 산지 출하자 단체 매칭 사업을 통해 적극적으로 정가수의 매매를 활성화할 계획이다.
□ 공사는 지난해에는 정가수의매매에 대한 이해와 홍보 위주의 사업 계획이었다면 올해는 정가수의매매 확산을 위한 지원 대책에 중점을 두었다면서 정가수의매매가 확산될 경우 가격변동이 최소화되어 가격 안정화에 기여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도매시장법인에서도 정가수의매매 활성화를 위한 자체 계획을 수립하여 출하자・중도매인 등 거래당사자에 대한 지원을 확대키로 하였다.
붙임 : 2014년도 가락시장 청과부류 정가수의매매 중점 품목
2014년도 가락시장 청과부류 정가수의매매 중점 품목
○ 채소(5개품목) : 부추, 감자, 버섯류, 양채류(양상추, 브로코리) 등
○ 과일(5개품목) : 사과, 배, 감귤, 수박, 토마토 등
구분 | 중점품목 | 정가수의매매 활성화 방안 |
채소 | 부추 | ⋅주출하시기 : 5월~10월 ⋅4월 중도매인 간담회를 통한 정가수의거래 활성화 유도 ⋅지방상인 구매 물량 정가수의 거래 적극 유도 |
감자 | ⋅주출하시기 3월말 ~ 7월초순 ⋅3월 중순경 중도매인 간담회를 통한 정가수의거래 활성화 유도 ⋅3월말~5월 하우스감자물량 정가수의거래 적극 추진 | |
버섯류 | ⋅주출하시기 : 연중출하 ⋅전자거래를 통한 활성화 유도 및 신상품 및 특용버섯 출하처 개발을 통한 정가매매 활성화 | |
양채류 (양상추/ 브로코리) | ⋅주출하시기 : 연중출하 ⋅전자거래를 통한 대형유통업체 납품 추진 및 지방도매시장 전송을 통한 정가수의 거래 활성화 추진 | |
과일 | 사과 | ⋅주출하시기 : 9월~1월 ⋅명절 물량 정가수의거래로 분산처리 강화 |
배 | ⋅주출하시기 : 9월~1월 ⋅명절 물량 정가수의거래로 분산처리 강화 | |
감귤 | ⋅주출하시기 : 11월~2월 ⋅노지감귤의 중소마트 납품 중도매인 연계 정가처리 활성화 | |
수박 | ⋅주출하시기 : 5월~8월 ⋅대형유통업체 납품중도매인 연계 실행 및 전자거래 적극시행 | |
토마토 | ⋅주출하시기 : 연중출하 ⋅대형마트 및 식자재 납품 중도매인 물량 정가매매 활성화 |